• 강의소개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그리고 우주에는 우리 뿐일까? 이 두 가지 질문은 아주 먼 옛날 인류 가 맨눈으로 밤하늘을 올려다보기 시작한 이후, 최첨단 망원경들이 우주로 올라가 우주를 관측하고 있는 오늘 날까지 계속 이어져오고 있는 인류가 품은 가장 위대하고 오래된 질문이다. 바로 이러한 질문에 대해 오늘날 의 천문학은 나름 그럴 듯한 답을 내놓고 있다. 동시에 아직도 여전히 속 시원하게 답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 들도 존재한다. 과연 오늘날의 과학은 우리의 가장 위대한 질문에 어떤 대답을 주고 있으며 또 동시에 우리는 어떤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지를 함께 배워보며, 일상 속에서 그동안 체감하기 어려웠던 우주, 천문학의 아름 다움을 함께 느껴본다.

     

    오늘날 현대 인류는 지구를 벗어나 태양계 외곽까지 탐사선을 보내고 유인 우주 탐사 시대의 새로운 개막을 앞두는 시대를 살아오고 있다. 빅뱅에서 시작된 130억년에 가까운 긴 우주의 진화 과정을 통해서 우리가 존재하게 되었지만, 아쉽게도 우리는 지구에 갇힌 채 살아가는 탓에 우리가 이 광막한 우주에 살고 있으며 우리 스스로가 바로 우주 진화의 유구한 추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살아있는 화석이라는 자명한 사실을 망각하곤 한다. 하지만 현대 물리하과 천문학은 우리가 이 우주에 존재하는 일원이며 우주 진화의 기나긴 과정을 함께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매번 우리에게 들려주며 우리 인류 스스로의 존재성을 지구를 벗어나 우주적인 스케일로 확장할 수 있는 창구가 된다. 이번 강의를 통해 평소 미처 생각지 못했던 우리 일상 속에 스며든 다양한 물리학/천문학적인 개념을 접하고 우리가 이 우주의 진화 과정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천문학적인 연결 고리를 찾아본다.

  • 강사소개
      1. 지웅배
        교수
        
                              
  • 평가
    이수기준
    출석 중간시험 기말시험 합계
    20% 40% 40%
    이수기준
    출석 20%
    중간시험 40%
    기말시험 40%
    합계
  • 강의계획서
    강의계획서
    기간 학습내용
    1주
    2023.06.22
    우주와의 첫 만남
    2주
    2023.06.23
    입자, 미시세계의 마법
    3주
    2023.06.26
    빛, 우주를 보는 눈
    4주
    2023.06.27
    인간 중심 원리, 패러다임의 전환
    5주
    2023.06.28
    은하의 발견, 현대 우주론의 시작
    6주
    2023.06.29
    빅뱅 우주론, 우주 팽창의 발견
    7주
    2023.06.30
    중력, 일반 상대성 이론
    8주
    2023.07.03
    중간고사
    9주
    2023.07.04
    빅뱅의 증거, 우주 배경 복사
    10주
    2023.07.05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11주
    2023.07.06
    별의 진화, 초신성의 후예
    12주
    2023.07.07
    생명 탄생의 비밀, 물의 기원
    13주
    2023.07.10
    태양계 진화, 금성과 화성
    14주
    2023.07.11
    외계생명체와 외계행성
    15주
    2023.07.12
    기말고사
천문학의세계
강의정보
강의진행방식 동시적
학기 2023년여름학기
진행기간 2023.06.22 ~ 2023.07.12
학점 3학점
적정학습시간 15주(1주당 3시간)
정원 100명
신청인원 6명
마감
전송 완료